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의 모든 자료는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Q&A

코수술 후 6개월 되어가는데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코수술 후 6개월 되어가는데

질문내용

코수술 후 6개월 되어가는데

양쪽 콧볼 모양이 너무 다르면

재수술 해주나요? ㅠㅠ

답변

코재수술 관련 질문을 주셨네요.

님께서 “코수술 후 6개월 되어가는데

양쪽 콧볼 모양이 너무 다르면

재수술 해주나요? ㅠㅠ”라고 말씀하셨는데

수술 후 불만족스러운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분의 요구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여 수술 범위를 정하고

재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비용은 환자분의 상태, 수술의 방법, 의료 기관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집도의 선생님께 진찰을 받으신 후 안내받으시길 권합니다.

0 comments
Q&A

위혈소판감소증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위혈소판감소증

질문내용

위혈소판감소증

혈소판이 응집되서그런다는데요

사람 몸안에서 혈소판이 응집되어있다는소린가요?

채취 후에 검사시 넣는 약물에의해 응집된다는소린가요?

답변

혈소판응집현상은 채혈한 혈액 내에서 혈소판이 서로 엉겨붙어서 덩어리를 이루면서 혈소판 수가 감소된 것 같이 정확히 체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 몸안에서 응집되는 것은 아닙니다.

혈소판의 기능

목차

1) 지혈의 개념

2) 1차지혈

3) 2차지혈

4) 혈소판응집···TXA2

이 항목은 매우 중요하므로 이해될 때까지 여러 번 읽어보도록 하자.

1) 지혈의 개념

넘어져서 무릎이 까지거나 바늘에 손가락을 찔려서 피가 나는 경우가 있다. 출혈이란 혈관이 파괴되어 그곳으로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정도의 출혈을 멎게 하려고 약을 먹거나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는 않는다. 기껏해야 반창고를 붙이는 정도이다.

이렇게 작은 혈관 상처로 출혈을 하는 경우에는 거의 아무런 조치 없이도 피가 멎는데, 이것은 지혈체계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지혈에는 1차지혈(primary hemostasis)과 2차지혈(secondary hemostasis)이 있다. 1차지혈이란 혈관의 상처 부위에 혈소판이 모여 그 상처를 덮음으로써 일단 출혈을 막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1차지혈의 주역은 혈소판이다. 우선 혈소판으로 상처의 덮개를 만들고 나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2차지혈에서는 그 혈소판으로 된 덮개를 견고하게 하여 완전히 지혈한다. 이때의 주역은 응고인자(coagulation factor)와 피브린(fibrin)이다. 실제로는 1차지혈과 2차지혈이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2) 1차지혈

1차지혈의 주역인 혈소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지혈에 관여하는지 살펴보자.

우선 지혈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2가지 기능에 대해서 알아두자.

그 2가지 기능이란 부착능과 응집능으로서 양쪽 모두 혈소판이 어떤 것에 달라붙는 것을 의미한다. 부착(adhesion)이란 혈소판이 혈소판 이외의 다른 것과 결합하는 것이고, 응집(aggregation)이란 혈소판끼리 서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1차지혈에서는 이 2가지 과정이 중요하다.

혈관이 파괴되면 혈액이 밖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혈관내피(endothelium)가 박리되어 혈관내피하조직(subendothelial tissue)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혈관내피하조직 중 대표적인 것이 콜라겐(collagen)인데, 이 노출된 혈관내 피하조직에 혈소판이 부착된다.

혈소판이 콜라겐(collagen)에 부착될 때에는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제와 같은 작용을 하는 물질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하는 물질이 von Willebrand’s factor(vWF)이다(von Willebrand 인자). 이 vWF는 콜라겐(collagen)과 결합하는 동시에 혈소판의 세포 표면상에 존재하는 막당단백인 GPIb/IX 복합체와 결합한다. 이렇게 혈소판은 vWF를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콜라겐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8-4 : 혈소판과 콜라겐의 부착

Bernard-Soulier증후군에서는 GPIb/IX 복합체가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혈소판의 부착능도 저하되어 있다(혈소판기능이상증).

• 1차지혈 ··· 혈소판에 의한 지혈

• 2차지혈 ··· 응고인자에 의한 지혈

다음으로 내피하 조직에 부착된 혈소판 속에서는 inositol-1, 4, 5-triphosphate(IP3)와 G단백질 등 2차 전령(second messenger)의 증가가 일어나는데, 그 결과 세포내 단백이 인산화되고 세포내 칼슘농도가 증가되어 혈소판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혈소판은 세포내 과립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물을 세포 밖으로 방출하는데, 방출된 물질 중 ADP가 다음 단계인 혈소판응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방출된 ADP에 의해 혈소판의 세포 표면상에 있는 또 다른 막당단백인 GPIIb/IIIa 복합체에 구조변화가 일어난다. 즉 GPIIb/IIIa 복합체는 혈소판응집에 필요한 피브리노겐(fibrinogen) 수용체로 변화하는 것이다.

활성화된 GPIIb/IIIa 복합체에 피브리노겐이 결합하면 혈소판이 차례로 응집되어 간다.

그림 8-5 : 혈소판응집

Glanzmann병에서는 GPIIb/IIIa복합체가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혈소판의 응집능도 저하되어 있다(혈소판기능이상증).

이처럼 ADP가 방출과 응집을 반복하여 응집 덩어리가 성장해서 혈소판혈전을 형성하는데, 여기까지를 1차지혈이라고 한다.

정리하면, 1차지혈은 혈소판의 부착과 응집의 2가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며, 그 두 단계 사이에 과립의 방출이라는 단계까지 더해지면 1차지혈은 3단계를 거쳐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표 8-2 : 1차 지혈 과정

1차지혈에서 중요한 것으로는 다음의 3가지 사항을 들 수 있다.

혈소판 수

→ 혈소판 수가 적으면, 혈소판혈전을 만들 수가 없다.

vWF와 피브리노겐의 양

→ 부착과 응집에 관여하는 이들 혈장단백은 1차지혈에 반드시 필요하다.

혈관내 피하조직(특히 콜라겐)의 이상

→ 실제로 결합조직 이상증인 Ehlers-Danlos증후군, Marfan증후군, 골형성부전증에서는 혈소판부착이상에 의한 출혈경향이 나타난다.

3) 2차지혈

2차 지혈의 주역은 응고인자이다(지혈과 응고의 차이 참고).

4) 혈소판응집···TXA2

혈소판응집을 유발하는 물질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ADP

• 에피네프린(epinephrine : adrenaline)

• thromboxane A2(TXA2)

• 콜라겐

• thrombin

• ristocetin

위에 나온 것들 중에서 ADP, 에피네프린, 콜라겐, ristocetin에 대해서는 응집능의 검사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혈소판의 기능을 알아보는 검사)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TXA2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TXA2는 혈소판이 만드는 물질이다. 혈소판이 활성화되면 막의 인지질로부터 arachidonic acid가 유리되고, cyclooxygenase 등 prostaglandin 합성효소작용에 의해 TXA2가 만들어진다.

그림 8-6 : TXA2와 PGI2의 생성과 역할

이 TXA2는 혈소판응집 촉진, 방출 유발, 혈관수축 등의 작용을 한다. 혈관수축과 지혈을 연관시켜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혈관수축으로 인해 혈관을 흐르는 혈액량이 감소하므로 출혈량도 감소하게 되어 지혈이 쉬워지는 것이다.

한편 혈관내피에서는 같은 arachidonic acid 대사물인 prostacyclin(PGI2)이 생산된다. PGI2는 혈소판의 응집과 방출을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시킨다. TXA2와 PGI2는 구조가 매우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정반대의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혈소판에서 만들어지는 TXA2와 혈관내피에서 만들어지는 PGI2가 서로 길항함으로써 지혈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PGI2가 없다면 혈관의 상처가 아주 작을 때에도 커다란 혈소판혈전을 만들어 혈관을 폐쇄시킬 것이다.

혈관이 폐쇄되어 버릴 정도의 혈전을 만드는 것은 생체에는 불리한 일이다. 혈전의 크기는 상처를 막을 정도만 되면 충분한 것이다. 잘 맞는 크기의 혈전을 만드는 데 PGI2는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림 8-7 : TXA2와 PGI2의 관계

TXA2와 PGI2의 불균형과 관계가 있는 2가지 사항이 있다. 아스피린(aspirin)과 임신중독증(toxemia of pregnancy)이다.

아스피린은 해열 · 진통에 사용되는 약이다.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출혈시간이 연장된다는 말이 있는데 과연 그럴까?

아스피린에는 cyclooxygenase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TXA2와 PGI2, 양쪽 모두의 생산을 억제한다. 그럼 왜 출혈시간이 연장되는 것일까? 혈관내피세포에서는 혈소판보다 빨리 cyclooxygenase가 재생된다. 즉 혈소판에서 TXA2의 생산이 억제된 상태일 때에는, 이미 혈관내피세포에서는 PGI2의 생산이 회복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PGI2 쪽이 우세하게 되고, 그것이 혈소판응집 억제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임신중독증에서 나타나는 고혈압은 혈관내피세포의 장애와 그에 따른 TXA2와 PGI2의 불균형 때문에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즉 혈관내피세포 장애로 인한 PGI2의 감소에 의해 TXA2와 PGI2의 균형이 파괴됨으로써 혈관이 수축되고 고혈압이 생기는 것이다.

0 comments
Q&A

눈에 이것때문에 삶이 고통스러워서 질문해봅니다.

by 건강연구원 2023-05-10

눈에 이것때문에 삶이 고통스러워서 질문해봅니다.

질문내용

병원에선 알레르기성 결막염 이라고 하더라고요..그래서 염증조직이 올라온거라고 약을 뿌려고 가라앉지도 않고 계속 있습니다. 미치겠네요 이물감 느껴지고 뭐 눈이 막 땡기고 불편해 죽겠습니다.

왼쪽 눈만 그렇습니다. 저게 작년부터 계속 아팠다 안아팠다 그래서 너무 힘듭니다 ㅜㅜ

이 조직을 제거 하는게 가능한가요?

답변

약은 계속 사용해주시면서

최대한 무리하지 말고 쉬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눈이 피로하지 않게 신경써주시길 바랍니다.

장시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화면을 볼 경우

회복이 더딜수도 있으니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0 comments
Q&A

심장이 아파요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심장이 아파요

질문내용

중학교 1학년인데 아침에 숨쉬는게 힘들고 가슴쪽이 아파서 일어났는데 가슴 가운데쪽이 아파요 숨도 힘들게 쉬어지고 학교 수업 받다가 너무 아프면 병원 갈건데 혹시 심한 병인가요?

답변

아침에 숨쉬는게 힘들고 흉통이 있군요

운동시 더 심해지나요?

쓰리거나 하는 증세는 없는지요?

흉부 통증은 보통 폐, 심장, 식도염 또는 위염 등의 가능성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보통 폐의 이상은 기침 발열 가래 이상 등의 증세 또는 가슴의 통증으로 오며 이는 흉부 엑스레이 및 CT등을 통해 확인가능합니다.

그리고 심장흉통이 협심증 등의 심혈관 이상으로 인한 것이라면 쥐어짜는 듯한 또는 돌덩이 등으로 눌러서 압박하는 듯한 타이트한 흉통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운동 등으로 체내 산소 요구량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더 악화되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대개 소화불량 속쓰림등을 동반하게 됩니다.

질문자분의 경우 어떠한 증세가 언제 악화되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시고, 증세가 지속된다면 가까운 병원에서 심전도 등으로 기본 확인을 하실 것을 권합니다.

0 comments
Q&A

왼쪽 눈꺼풀 안쪽에 뭐가 도드라져서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왼쪽 눈꺼풀 안쪽에 뭐가 도드라져서

질문내용

왼쪽 눈꺼풀 안쪽에 뭐가 도드라져서

점점 크는 거 같은데 이게 뭔지 치료가

가능한지 궁굼하네요 가끔 가려운 느낌도

들구요

답변

직접 검진을 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피부의 문제일 수도 있어 피부과로도 내원하여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0 comments
Q&A

간경변 환자의 대장 변화와 정신 건강의 연관성?

by 건강연구원 2023-05-10

간경변 환자의 대장 변화와 정신 건강의 연관성?

질문내용

간경변 심각한 사람은 대장에 변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면 암모니아 때문에 정신이 오락가락 하나요?

암모니아를 거의 완벽히 제거하려면 체내에 대변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아야 하나요?

ㅕ

답변

간경변이 심하면 간의 해독기능이 떨어져 체내의 암모니아 수치가 올라가게 되며 이로 인한 신경계 기능저하를 간성혼수라고 일컫기도 합니다.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해 암모니아 흡착을 위한 약제를 사용해볼 수도 있으며 체내의 대변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힘들어도 일정 수치 이하로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간성혼수

[ hepatic encephalopathy ]

급성 간성혼수는 간경화 등 기존의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악화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악화요인(표 2)을 교정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성 간성혼수는 상당량의 문맥전신순환지름(portal-systemic shunt)이 있는 환자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뇌병증을 보이는 경우다.

표 1. 간성혼수를 악화시키는 요인

Dietary protein excess

Constipation

GI bleeding

Uremia

Hypokalemia

Alkalosis

Dehydration

Drug-benzodiazepine, psychoactive drugs

병인

간성혼수의 병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암모니아와 같은 신경독성물질의 축적,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의 기능적 장애, 신경흥분물질의 감소와 억제물질의 증가, 중추신경 GABA 수용기의 활성화, 가성신경전달물질(false neurotransmitter)의 생성, 뇌의 에너지 대사장애, 기저핵(basal ganglia) 내의 망간 축적 등의 기전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임상양상

경미한 증상부터 혼수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간기능 저하의 정도와 속도, 동반된 합병증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경미한 구음장애, 무력감, 안절부절, 과민성 등이 초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문맥전신순환지름이 심한 경우 정서장애, 성격변화 등이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진행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의식혼탁, 실행장애(apraxia), 운동실조, 서동(bradykinesia), 경직(rigidity), 혼수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고정자세불능증이 특징적이며 황달, 간비대, 복수 등의 진찰소견을 보일 수 있다. 간성혼수는 수일 또는 수주에 걸쳐 진행하거나 변동(fluctuation)을 보일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에 의해 호전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점진적으로 진행해 치매, 연축성 하지마비(spastic paraparesis), 소뇌조화불능운동, 추체외로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나 성공적인 간이식에 의해 서서히 호전될 수도 있다.

0 comments
Q&A

생리 기간 피 소량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생리 기간 피 소량

질문내용

생리 기간에 피 아주 조금 나오고 핑크색이여서 착상혈인줄 알았는데 3일 지나고도 계속 나와서 아닌데 …

지금 10일 넘게 피가 아주 조금씩만 나와요.

생리대에 묻긴 하는데 평소 생리양과 다르게 아주 조금 묻는달까요.

계속 피가 이렇게 조금 나오는건 이유가 뭘까요?

색도 빨강색이아니라 갈색이나 아주 연한 빨강색이에요

답변

평소의 생리양 평소의 기간과 다르게 나오는 출혈은 일단 비정상 출혈로 여겨야 합니다

젊은 여성의 경우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출혈도 많이 차지하며

임신의 유산기에 의한 출혈도 있을수 있습니다

이것은 임신검사로 바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산부인과 질환은 거의 모두에서 출혈이 나타나므로

출혈이 있다는 증상으로 무엇 때문이라고 말할수가 없습니다

10일 이상 출혈이 보인 경우는 산부인과 진찰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0 comments
Q&A

헤모글로빈과 콜라겐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 다른 이유

by 건강연구원 2023-05-10

헤모글로빈과 콜라겐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 다른 이유

질문내용

아미노산의 수, 종류, 결합 순서 등을 포함해서 알려주세요 ㅠㅠ 모르겠어요

답변

헤모글로빈의 분자식은 C3032H4816O872N780S8Fe4 이며 철 원자가 4개 포함되어 있습니다. 철을 포함한 포르피린 고리와 단백질의 일종(글로빈)을 포함한 헴(heme)이라는 구조 4개가 모여 이루어집니다. 철원자 1개에 대해 한 분자씩의 산소가 결합하므로, 헤모글로빈 한 분자에는 산소 4분자가 결합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철분이 4 포르피린과 결합하고 있는 헴이 글로빈과 결합한 형태가 네개 이어져서 헤모글로빈을 이룹니다

콜라겐은 글리신, 하이드록시 라이신, 하이드록시 프롤린이 반복되는 구조를 지니며 type I, type II, type V를 포함하여 6종류 이상이 있습니다. 특히 라이신과 프롤린은 하이드록시레이스에의해 수산화기가 붙기 때문에 강력한 수소결합을 형성합니다. 콜라젠에 대한 정보은 이곳에서 설명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합니다. https://www.seehint.com/word.asp?no=12565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0 comments
Q&A

항생제 복용 후 배에 가스 및 설사할 때

by 건강연구원 2023-05-10

항생제 복용 후 배에 가스 및 설사할 때

질문내용

항생제 3일치 모두 복용 후 투약은 끝난 상태인데

2일차까지 심하지않았는데 3일치약 먹은 저녁부터

배에 가스가 심하게 차고 약간의 설사도 있습니다.

배에서 소리가 너무 나서 잠도 잘 못잘정도입니다.

이 경우 집에 있는 제산제를 먹으면 도움이되나요?

아니면 어떻게 해야 증상이 완화되나요?

답변

항생제 중 장 내 유익한 세균까지 같이 제거가 되면서 장 기능이 약화되어 설사 복통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유산균 정장제를 복용하면서 장 운동을 정상화 시키는 약제 등의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당분간 자극적이고 맵고 짠 음식 및 밀가루 커피 등은 줄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증세가 오래 지속된다면 의료진의 촉진 및 시진 등 진찰 받으신 후 위염이나 식도염이 있는지 위내시경 및 간이나 담낭 췌장 등의 염증 또는 담석과 같이 소화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동반질환이 있는지 또는 하복부 통증을 일으키는 염증성 장질환 등을 배제하기 위해 검사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가 매번 응급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의료진의 판단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증세가 지속될 시 가까운 병원 방문하여 검사 받아보실 것을 상의해보시고 검사 결과에 따라서 진단이 내려진다면 약 드시면서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의료진과 상의하에 경과관찰 해보실 수 있습니다.

0 comments
Q&A

임플란트 당일 해주는곳과 안해주는곳 차이 뭘까요?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임플란트 당일 해주는곳과 안해주는곳 차이 뭘까요?

질문내용

임플란트 당일 해주는곳과 안해주는곳 차이 뭘까요?

저는 임플란트 힐링어버트먼트 재료에 알레르기 있어서 당일 임플란트 만 고려하거든요. 

티타늄만 알레르기 없는데 힐링어버트먼트 는 일반 금속이라하더군요.

어떤 곳은 몇개월 걸린다 하고 어떤곳은 당일 할수 있다는데 차이가 뭘까요?

답변

보통, 힐링어버트먼트도 티타늄입니다.

치료 방법의 차이는, 각 전문가마다의 치료방식의 차이입니다.

무엇이 맞고 무엇이 틀리다고 할 수 없습니다.

보다 더 신뢰가 가는 치과에서 그 치과의 방식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0 comments
Newer Posts
Older Posts

개인정보처리방침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의 모든 자료는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