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의 모든 자료는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Q&A

부모님 상태 괜찮나요?

by 건강연구원 2023-05-10

부모님 상태 괜찮나요?

질문내용

부모님이 류마티스 관절염 있으시고 계속 아프시다고 하고 진통제 하루에 3개씩 거의 5년 동안 그렇게 지내셨습니다. 밤에 아프시다고 잠을 못 주무셨는데 요즘 갑자기 잠을 많이 자세요. 이거 혹시 문제 없겠죠?

요즘 너무 무섭습니다 자고 일어났는데 부모님이 계속 못일어나실거 같아서

답변

지병으로 오래 고생하셧고 많이 아프셧다면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진료 보시고 피검사 등을 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불안해 하지 마시고 병원 모시고 가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0 comments
Q&A

손가락 신경 회복 질문드립니다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손가락 신경 회복 질문드립니다

질문내용

1주일전 손가락을 깊게 베여서 꿰매고 항생제 먹으며 조금씩 회복하고있는데

손가락쪽에 감각이 둔하고 쥐난것처럼 띵해서 의사선생님께 여쭤보니 신경까지 다쳐서 그럴수도있어서 그렇다는데

신경은 회복하는데 어느정도 걸리나요??

답변

신경 손상이 있었다면 신경 회복은 2-3개월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0 comments
Q&A

목이물감,가슴두근거림,호흡곤란~

by 건강연구원 2023-05-10

목이물감,가슴두근거림,호흡곤란~

질문내용

2년전부터 호흡곤란~

운전중에 응급실가야될까 싶을정도로 호흡곤란때문에 힘들었습니다.

그러던중

병원내시경,치과 진료받기전

가슴이 터질정도로 두근거리면서 숨이 막힐정도로~ 호흡곤란이 같이 오는경우가

이제는 계속 지속되네요~

그리고 목이물감도 너무 심해서 계속 흠~ 흠 거리고

목에 가래가 있는것같이 심하게 하루종일 흠흠 거리니

목이 더 붓는것 같고

명치가 답답해서 소화도 안될때가 많아서 내시경도 받아봐도

특이점이 없네요~

여러모로 

나이 47세가되면  오는 것인지 잘모르겠네요

운동은 꾸준히 하는편인데도 이런 질병들이 여러게 겹쳐서 오니

너무힘들고 하소연할때가 없네요..

부끄럽기도하고 그래서요…

공황장애인지…

정신과 상담을 받아야될까요..?

답변

질문자님의 증상을 보니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신 것 같습니다. 40대 중반이 넘어가면 몸의 기능이 점점 떨어지는 것을 느끼기도하지만, 경제활동, 인간관계 등으로 인하여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때 스트레스가 신체화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질문자님처럼 가슴이 많이 두근거려서 불안해지고, 호흡이 답답해지는 증상이나 목에 무언가 걸린듯하고 소화가 안 되는 증상(한의학에서는 이를 매핵기라고 합니다. 화병이라든가 역류식도염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 질환은 나이와 상관없이 옵니다만, 불가에서 삶은 고행이라는 말이 있듯이 나이가 들어갈 수록 더 많이 나타납니다. 부끄러워하실 필요없습니다. 살다보면 몸과 마음이 힘들어질 때가 있는 거니까요.

검사해도 별다른 이상소견없고, 몸은 불편하시다면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면 훨씬 더 나아지실겁니다.

참고- 한방신경정신의학

한의학에서는 정서적문제로 인해 육체로 나타나는 증상을 칠정상(七情傷)이라고 합니다. 칠정은 희노우사비공경(기쁨,분노,근심,고민,슬픔,두려움,놀람)의 감정을 뜻하는데, 이러한 감정이 갑작스럽고 강렬하고나 혹은 반복되어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인체의 정상적 생리적 기능이 견딜수 없게 되어 인체를 힘들게 합니다.(흔하게 말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이라는 것도 칠정상중의 하나입니다.) 각각의 감정(칠정)은 과하면 오장을 상하게 하는데, 따라서 치료는 인지치료와 기공, 한약 등을 통해 오장(五臟)을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칠정상을 다스립니다.

0 comments
Q&A

엉덩방아 찧은 후 인대 찢어졌다 소견 받았는데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엉덩방아 찧은 후 인대 찢어졌다 소견 받았는데

질문내용

어머니가 엉덩방아를 찧었고 당시에는 병원을 안갔고 병원을 1년 정도 있다가 갔는데 엉덩이?인대가 찢어졌다고 했답니다 근데 마땅한 치료를 해준건지 안해준건지.. 몇년이 지나도 아파하시는게 마음에 걸려서요.. 이럴땐 어떤 병원을 가야 치료가 될까요? 인천에 있는 병원 중에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엉덩방아 이후 인대 나 뼈에 이상이라면 척추 센터 진료를 보세요

0 comments
Q&A

신경외과/뇌진탕 특화된 대학병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신경외과/뇌진탕 특화된 대학병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질문내용

약 3 달 전 교통사고를 당하였는데, 최근 한 달 정도 전 부터 어지럼증과 속이 답답함 이 지속되어서

CT 촬영을 해보려고 합니다.

서울에 위치한 대학병원들 중 뇌진탕이나 신경외과 에 특화된 병원은 어느 곳 인가요?

답변

특화된 병원은 없으며, 대학병원에는 모든 파트가 있으니 진료 보시면 됩니다.

0 comments
Q&A

세라티크세라마이드 복용량 관련 질문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세라티크세라마이드 복용량 관련 질문

질문내용

피부장벽이 많이 무너진 상황입니다

세라티크세라마이드 1달째 복용 중인데 하루 2개씩 먹어도 되나요

1개에350mg 들어있습니다

답변

항상 모든 제품들의 부작용을 확인해 보시고 그 부작용중에 피부발적 가려움증 두드러기 알레르기 등의 피부염증을 유발하는 것이 있다면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심부온도를 높여서 피부온도를 낮추는 것입니다. 피부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심부온도까지 낮아지면 오히려 피부에서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에는 피부염증에 대한 세포 열에너지대사적 관점에서의 정보들을 첨부합니다. 참조바랍니다.

피부염증에 대한 세포 열에너지대사적 관점에서의 심층 분석

먼저 증상이나 질환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모든 생명체의 생명유지의 절대적 3요소는 햇볕(산소), 온도, 수분(영양)입니다.

이들의 3대 요소의 밸런스가 깨질 경우 생명체는 질병에 노출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즉 이러한 3대 요소의 부조화는 생명체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인 세포(Cell)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세포의 대표적인 생리기능인 열에너지대사에 장애를 일으켜 정상적인 생명현상(生命現象)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엔 건강을 유지할 수가 없고 이때 다양한 증상이나 질환이 발생하게 되고 종국엔 사망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 필자의 질병관(疾病觀)입니다.

그래서 질병 발생의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선 항상 평소에 잘 먹고, 잘 자고, 잘 배설했는지 아울러 정상적인 생활섭생을 했는지를 먼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질병(疾病)은 세포의 손상(cell injury)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세포의 손상은 염증(炎症, inflammation))입니다.

세포의 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을 병인(病因)이라 합니다. 병인에는 압력, 온도, pH, 저산소증, 전기장, 자기장, 전해질, 중금속, 약물, 환경 여건 그리고 음식물의 점도 경도 산도 표면적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습니다. 너무나 다양한 요인들이 인체에 급성적으로도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만성적, 지속적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이럴 경우엔 사람들은 전혀 인식하지 못한 채 생활하게 되고 결국엔 다양한 증상이나 질병에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세포가 손상을 받는 순간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Adenosine triphosphate) 합성장애로 인해서 열에너지 발생량이 줄어들어 뇌를 포함한 오장 육부의 온도인 심부온도(Core temperature)가 저하됩니다.

이때 체온조절중추인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는 체온을 보존, 유지하기 위해 체열의 방출을 줄이게 되고 이때 모공을 손발끝에서부터 먼저 닫히게 됩니다.

이후 식사, 운동 등의 일상적인 생활을 하게 되고 몸속에서 열에너지가 발생됩니다.

하지만 그 발생된 열에너지는 전신으로 골고루 분산 방출이 되지 못하고 구멍, 관절, 마찰이 많은 부위로 과도하게 이동, 방출하게 됩니다. 즉 열에너지가 편중 편쇠되어 중첩(重疊), 교차(交叉)되는 부위가 생기게 되고 이때 그 중첩 교차되는 부위의 피부 및 조직의 온도는 급상승하게 되고 이때 염증(炎症, inflammation)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명심해야할 것은 세포는 심부체온 37도일 때 가장 정상적인 생리기능인 열에너지대사를 영위하여 생명현상을 발휘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심부온도의 저하나 상승이 발생될 경우 다양한 질병이 발생하는데 한의학에서도 기혈(氣血)의 과도한 편중(偏重), 편쇠(偏衰)의 결과, 각종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특히 심부온도가 저하될 경우 모공은 닫히고 피부온도가 상승될 때 다양한 염증성 증상이나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입니다.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가 상승될 때는 발적(發赤), 발진(發疹), 홍조(紅潮), 홍반(紅斑), 따가움, 화끈거림, 심할 경우엔 찌르는 듯한 통증(痛症) 등 다양한 염증성 증상(炎症性 症狀)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화되면 과색소침착 및 피부색의 변화(하얀, 검은, 푸른,, 노란 피부색 등)를 초래하게 됩니다.

한편 피부온도의 상승은 표면장력(表面張力, surface tension)의 약화와 응력(應力, stress)의 강화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압력과 밀도가 낮은 공간으로 밀어내는 힘이 강해집니다. 대체적으로 융기, 돌출, 비대, 팽창과 같은 융기성(隆起性)의 조직변형이 오게 됩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구진(丘疹), 팽진(膨疹), 수포(水疱), 농포(膿疱), 결절(結節), 종기(腫氣), 종양(腫瘍) 등이 있습니다.

아울러 모공이 장기간 닫히게 되면 피부로의 수분공급량이 줄어들고 피부는 건조, 균열, 태선화(苔蘚化 lichenification)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더구나 각질세포 간의 점착성(粘着性)마저 줄어들 때는 인설, 각질, 비듬 등과 같은 탈락성증상(脫落性症狀)들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공이 닫힌 상태에서 몸속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몸 밖으로 원활하게 방출이 되지 못할 경우엔 강제적으로 모공을 열어 열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 이때 가려움증(搔痒症, pruritis)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가려움증이란 열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한 본능적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염증성 증상들이 피부에 발생될 피부염으로 진단을 내리게 되고 이러한 염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아래와 같은 3대 원칙을 제시합니다.

첫째 높아져 있는 피부온도는 낮춰야 합니다.

과도한 열쏠림으로 중첩 교차된 열에너지를 없애기 위해선 상승된 피부온도를 낮춰야 합니다. 이때 다양한 염증성 증상들이 완화, 치료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세포 열에너지대사를 억제하는 치료방법은 조심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심부온도 피부온도 동시에 낮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피부온도가 낮아질 때에는 현재의 증상들은 완화될 수 있겠지만 심부온도가 저하될 경우엔 모공은 더욱더 닫히게 되고 열쏠림 현상은 더욱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심부온도는 생명(生命)의 온도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청열해독(淸熱解毒)의 치료방법으로 피부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둘째, 닫혀져 있는 모공은 열어야 합니다.

모공을 통해서 열에너지는 전도, 대류, 복사, 증발 4가지 타입으로 용이하게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 방출하게 됩니다. 전신으로 골고루 열에너지가 분산 방출이 될 때 높아졌던 피부온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이때 염증이 치료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가려움증도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 속의 열에너지를 줄이거나 내리는 것이 아니라 분산, 방출시킨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몸속의 열에너지가 줄어들 경우엔 심부온도까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부온도의 저하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원기(元氣)나 정기(正氣)의 손상을 의미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발한해표(發汗解表)의 치료방법으로 모공을 열게 합니다.

셋째, 낮아져 있는 심부온도는 높여야 합니다.

뇌를 포함한 오장육부의 온도를 심부온도라 합니다. 오장육부에서의 열에너지대사가 활발해질 때 심부온도는 최적화, 37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오장육부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엔 심부온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때 심부 혈관은 수축되고 혈류속도는 저하되고 혈액의 점성은 높아집니다. 이때 혈액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인 백혈구 적혈구 임파구 혈소판 형질세포들의 활동량이 줄어들어 면역력 또한 저하됩니다.

그리하여 당연히 심부온도아 높아져 면역력을 증강될 때 일체의 염증성 증상이나 질환들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온중산한(溫中散寒)의 치료방법으로 심부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과도한 열에너지의 중첩 교차현상으로 발생된 염증의 3대 치료 원칙를 준수하면서 질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한방약물요법, 식이요법, 생활요법, 운동요법 등이 있습니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방법을 원하실 경우엔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서 상담해 보시길 바랍니다.

기타 피부염증에 대한 궁금증 풀이

1). 왜 구진 팽진 수포 농포와 같은 융기성의 증상들이 발생하나요?

피부온도가 급상승되어 표면장력이 약해지고 응력이 강해집니다. 이때 압력과 밀도가 낮은 공간으로 밀어내는 힘이 강해집니다. 이때 조직들은 돌출 비대 팽창 등과 같은 융기성의 증상들이 발생하게 되죠.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구진 팽진 수포 농포 결절 종기 종양 등이 있습니다.

2). 왜 피부염증에 가려움증이 생기나요?

세포 손상으로 열발생량이 줄어들 때 심부온도의 저하로 모공이 닫히게 됩니다. 이후에 식사를 하고 운동을 합니다. 몸속에서는 열에너지가 발생되고 그 발생된 열에너지가 몸밖으로 원활하게 방출이 되지 못할 경우 강제적으로 모공을 열게 됩니다. 이때 가려움증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3). 왜 긁고 나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검게 변하는가요?

세균이 체내로 침입했다고 피부가 붉어질까요? 아니면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교란되어 붉어질까요? 아니죠.

긁게 되면 마찰열이 발생되어 그 부위의 피부 모공이 강제적으로 열리게 됩니다. 이때 모공을 통해서 체내의 열에너지가 방출되고 그곳의 피부온도가 상승되면서 붉어지거나 검게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4). 왜 긁고 나면 피부가 따갑거나 화끈거리나요?

화상을 입을 때에도 피부가 따갑거나 화끈거립니다. 이는 외부에서 열이 가해진 경우이지만 내부에서 열에너지가 과도하게 쏠려도 그와 똑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5). 왜 긁고 나면 피부가 붓거나 융기현상이 생기나요?

긁은 부위로 열에너지가 방출되고 피부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그 주변의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량이 많아져 붓게 됩니다.

한편 피부온도의 상승은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 약화되어 압력과 밀도가 낮은 부위로 힘이 생겨 피부밖으로 밀어내는 힘은 더 강해집니다. 이때 구진, 팽진, 종기과 같은 피부융기현상이 발생되는 이유입니다.

6). 왜 대체적으로 저녁에 가려움증이 더 심해지는가요?

낮보다는 밤이 되면 사람의 활동량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하루 중 심부온도 또한 오후 6시부터 낮아지게 되어 모공은 더 닫히게 되고 피부로의 열방출은 더 곤란해지기 때문입니다.

7). 왜 생리 전후에 더 가려움증이 심해지나요?

생리 전후에는 심부온도가 저하되고 배란기에는 심부온도가 상승됩니다. 심부온도가 저하될 때 모공은 더 닫혀 구멍이 많거나 마찰이 많은 부위로 열쏠림 현상은 더 심해져 가렵습니다.

8), 왜 피부건조(皮膚乾燥), 균열(龜裂), 태선화(苔癬化) 현상이 발생하나요?

모공이 장기간 닫히게 되면 피부로의 수분공급량이 줄어듭니다, 이때 피부는 건조 균열 그리고 피부가 두터워지는 태선화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9). 왜 인설(鱗屑), 각질(角質), 비듬 등과 같은 탈락성의 증상들이 발생하나요?

그리고 수분 공급의 감소로 각질세포 간의 점착성(粘着性)마저 줄어들 경우엔 인설 각질 비듬 등과 같은 탈락성의 증상까지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10). 왜 미란(糜爛), 궤양(潰瘍), 박탈(剝脫) 등과 같은 박탈성의 증상들이 발생하나요?

피부에서의 온도가 급상승할 경우엔 압력과 밀도가 낮은 공간으로 밀어내는 힘, 응력(應力)이 매우 강해집니다. 이때 점막이 벗겨져 나가는 증상들인 미란 궤양 박탈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1). 왜 조직이 경화(硬化), 각화(角化), 위축(萎縮)의 현상들이 발생하나요?

피부온도가 상승된 부위에서는 표면장력의 약화와 응력의 강화현상이 공존합니다. 이는 고무줄을 양쪽 끝에서 잡아당기는 현상과 같은데 이때 고무줄이 탱탱해지듯이 피부조직 또한 단단해지게 됩니다. 즉 경화 각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엔 고무줄이 가늘어지듯이 조직 또한 위축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피부염증, 반드시 치료될 수 있습니다.

0 comments
Q&A

피부 한 침맞아서그런건지..

by 건강연구원 2023-05-10

피부 한 침맞아서그런건지..

질문내용

피부가 침맞고도 안좋아서..

왜그럴까요?

저 피부좀 봐주세요

제사이트에 잇는

답변

네 사이트의 url을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0 comments
Q&A

혈압 정상범위

by 건강연구원 2023-05-10

혈압 정상범위

질문내용

혈압 재봤는데 98/48이면 정상인가요?

답변

수축기는 정상이고 이완기는 저혈압입니다. 전반적으로 혈압이 낮은 편이에요.

0 comments
Q&A

생리주기 불규칙 질문

by 건강연구원 2023-05-10

생리주기 불규칙 질문

질문내용

나이는 21살이고 초경은 13살에 했습니다. 지금까지 생리주기가 규칙적이였는데 갑자기 불규칙해져서 질문합니다. 4월 9일부터 13일까지 생리를 했고 4월 28일부터 5월 3일?4일까지 또 생리를 했습니다. 원래는 생리통 있는데 이때는 생리통이 없었어요 그리고 다시 5월9일에 다시 생리를 시작했어요.. 아직 첫날이라 양은 아직 모르겠고 생리통은 없는거같아요 왜 갑자기 주기가 불규칙해진거죠? 최근에 크게 스트레스 받은건 없었고 체중변화도 크게 없어요… 왜 그런거죠.. 산부인과를 가야하는 건가요? 생리중에 산부인과를 가도 괜찮나요?

답변

생리란 배란이 된후 약 14일후에 나오는 출혈을 말합니다

20일만에 나온것은 생리가 아닐 가능성 즉 비정상 출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의 출혈이 생리인지 비정상 출혈인지는 초음파 검사를 하여 자궁내막을 봐야 알수 있습니다

산부인과 질환은 대부분 출혈이 나타나므로

출혈이 있다는 증상만으로 무엇때문이라고 말하기가 곤란합니다

가까운 산부인과에서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비정상 출혈이 있을때 진찰을 해야 정확한 원인을 알수 있습니다

0 comments
Q&A

갑자기 눈이 몰려요

by 건강연구원 2023-05-10

갑자기 눈이 몰려요

질문내용

아니 제가 평소에 멍때릴때 눈이 좀 몰리기는 하는데

오늘 아침~ 점심까지만 해도 안그러더니

놀이기구 몇개 타고 나니까 눈이 겁나 몰려요

왼쪽눈만 그래요 이거 왜이러죠???

렌즈 때문에 그런건가 전에는 멀리있는거만 몰려서 보였는데 이젠 가까이 있는것도 몰려서 보여가자고 좀 뿌옇게 보여요 이고 왜이로죠? 진짜 심각함 사람 눈을 못 쳐다보겠어요.

답변

일단은 안과로 내원하셔 자세한 검진 및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눈이 갑자기 몰리는 경우는 있습니다.

다만 일시적인 증상으로 잠깐 몰렸다가 금방 괜찮아지는데요.

보통 눈이 피로하거나 혹은 건조하거나, 알러지 등의 원인에

의해 그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일시적인 증상으로 시간이 지나면

점차 괜찮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질문자님의 경우엔 오히려 더 심해지고 있는 경우로 보아서는

안과로 내원하여 증상을 말씀드리고 담당 전문의께 자세한 검진 및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0 comments
Newer Posts
Older Posts

개인정보처리방침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
  • 자가진단
  • 증상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관절염
      • 구내염
      • 다이어트
      • 당뇨
      • 대상포진
      • 멀미
    • 메뉴 아이템
      • 불면증
      • 비염
      • 생리
      • 설사
      • 우울증
      • 치질
    • 메뉴 아이템
      • 탈모
      • 탈장
      • 편두통
      • 피부
      • 피임
      • 화상
  • 과별분류
    • 메뉴 아이템
      • 가정의학과
      •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비뇨기과
      • 산부인과
    • 메뉴 아이템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안과
    • 메뉴 아이템
      • 영상의학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신의학과
      • 정형외과
    • 메뉴 아이템
      • 치과
      • 피부과
      • 한의과
      • 종합
  • 칼럼
    • 색소치료 칼럼 [담당의사 김도훈]
  • 해충
    • 나방파리
  • 디바이스
  • 건강기능식품
  • 푸드
  • Q&A
건강팡의 모든 자료는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